
특히 이번 대선에서 경기도 득표율은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50.94%로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45.62%를 5.32%포인트 차로 앞지르며 접전 양상이었다. 이에 '경기도 사수·탈환'을 노리는 친문재인계 후보와 친윤석열계 후보 간 대결 구도부터 대선후보급 차출론까지 조기 과열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.
22일 각 당에 따르면 현재 경기도지사 출마를 공식 선언한 인물은 민주당 소속 염태영 전 수원시장과 국민의힘 소속 심재철 전 국회부의장, 김영환·함진규 전 의원 등이다. 치열했던 대선 분위기를 반영하듯 현재까지 후보 구도는 친문 대 친윤으로 갈라져 있다. 먼저 민주당에서 첫 출사표를 던진 염 전 시장은 당내 대표적인 친문계다. 수원시장 3선을 통해 익힌 행정 경험이 장점이다. 지방자치단체장 출신 첫 민주당 최고위원(2등 당선)이 됐고, 최근 여론조사에서 당내 2등이다. '0선'이라 조직력이 약하다는 평가와 친문계 도움을 받을 것이란 평가가 공존한다.
국민의힘 후보들은 이번 대선에서 윤 당선인을 도우며 친윤계로 자리매김했고 다선 국회의원 등 오랜 정치 경험이 장점으로 꼽힌다. 경기 안양 동안을 등에서 총 5선 국회의원을 지낸 심 전 부의장은 윤 당선인의 공동선거대책위원장을 맡았다. 경기 시흥갑 재선 출신인 함 전 의원도 윤 당선인을 경선캠프 때부터 도왔다. 이날 출마 선언을 한 김 전 의원은 지난해 7월 윤 당선인의 정치 선언 초기부터 공개 지지 선언을 한 측근으로, 현재는 윤 당선인 특별고문을 맡고 있다. 김 전 의원 역시 경기 안산 상록을에서 총 4선을 했고, 김대중정부에서 과학기술부 장관을 지냈다. 이 밖에 민주당 의원그룹에선 5선 조정식·안민석 의원이 출마를 준비 중이다. 조 의원은 원내대변인, 당 사무총장, 정책위의장 등을 역임한 '정책통'이다. 안 의원은 '최순실 국정농단' 당시 활약하는 등 대중 인지도가 높아 현재 발표되는 여론조사에서 당내 1위를 기록하고 있다. 남양주갑에서 3선(총 4선)을 했던 최재성 전 청와대 정무수석도 거론된다. 일각에선 최 전 수석의 강한 친문 색채를 오히려 약점으로 보기도 한다.
경기도지사 후보군에는 '대선주자급' 정치인 이름도 계속해서 나온다. 이재명 전 대선후보가 경기도지사를 지낸 뒤 대선후보로 직행하면서 후임에도 '큰 인물'을 원하는 대중심리와 연계한 차출론이다. 국민의힘에선 지난 대선 경선에 출마했던 유승민 전 의원, 원희룡 전 제주도지사가 거론된다.
특히 대선 이후 정계 은퇴까지 고려했던 것으로 알려졌던 유 전 의원은 주변에서 출마 권유를 받고 장고에 들어간 상태다. 출마를 결심한다면 늦어도 4월 1일까지 경기도로 주소지를 이전해야 해 이달 안에는 입장을 밝힐 것으로 보인다. 공직선거법상 지방자치단체장 피선거권을 갖기 위해선 선거일 기준 60일 이상 해당 관할구역에 주민등록이 돼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. 출마 가능성이 거론됐던 정병국 전 의원이나 김성원 의원은 "출마 의사가 없다"고 이날 매일경제에 밝혔다.
여권에선 이 틈을 김동연 새로운물결 대표가 노린다. 김 대표는 이날 본인 사회관계망서비스(SNS) 배경화면을 2015년 수원에 있는 아주대 총장 시절 축제 때 찍은 사진으로 교체했다. 국민의힘에서 유 전 의원 등 경제통·대권주자급 차출설이 나오자 이에 맞설 대항마로 김 대표가 거론되고 있다. 김 대표가 출마를 결심하면 민주당에 입당해 경선에 참여하거나 지난 대선처럼 제3지대에 남아 야권 후보 단일화를 노려야 한다.
[정주원 기자 / 채종원 기자]
[ⓒ 매일경제 & mk.co.kr,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]